Popular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Google.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Google. Show all posts

Wednesday, March 9, 2011

애플 vs 구글 따라하는 삼성 vs LG, 싸움의 기술

지난 8일 있었던 기자간담회에서 삼성전자 김현석 전무는 LG의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해 원색적인 비난을 했습니다. 이제 LG도 강력히 반발해서 'LG는 양심도 없다' '삼성은 이성을 잃었다'는 막나가는 디스플레이시장 전면전이 시작되었습니다.

흥미가 당기기도 전에 생각나는 것은 작년 하반기부터 줄기차게 이어지고 있는 애플과 구글의 싸움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니네 정책은 세상을 어지럽힐 것이다 니네의 기술력은 보잘 것 없다 내 제품에 니네꺼 못쓰게 할꺼다 니네 없어도 우리는 잘만 돌아간다 등등의 원색적인 비난을 서로에게 퍼부었지요.



최근에는 애플은 구글을, 구글은 애플을 직접적으로 겨냥하여 광고를 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비교광고가 극히 제한되어 있지만 미국은 법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비교 광고가 아주 흔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광고에서는 판매 1위의 도요타가 주요 타켓으로 죄어 토요타보다 좋은 특징들을 적나라하게 비교하기도 하고, 통신사업자 광고들은 버라이존은 AT&T를 AT&T는 버라이존을 TV광고에서 그대로 비교해서 까댑니다. 인터넷사업자 광고도 마찬가지로 컴캐스트는 버라이존을 비교대상으로 삼지요. 이외에도 감기약, TV, 운동기구 등 많은 비교광고를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다른 회사보다 제품 성능이 우수하다 할지라도 비교광고가 능사는 아닙니다. 때로는 역풍을 맞을 수도 있지요. 하지만 구글과 애플처럼 사용자가 보기에 서로 헐뜯고 니가 잘났니 내가 잘났니 하는 것은 서로에게 이익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많이 나왔습니다. 말그대로 윈윈이지요. 겉으로는 싸우고 있지만 현실에서 한쪽이 완벽히 승리할 수 없는 이상 최선의 방법일 수 있는 것입니다. 구글과 애플은 그렇게 싸우면서도 여러가지 합의점을 찾아서 잘들 살고 있습니다.아래 로고에서 보는 것처럼 애플의 구글 검색처럼 말이지요.



이번 삼성과 LG의 싸움은 그러한 이슈메이킹의 한 방법으로 보여집니다. 삼성이든 LG든 미국과 유럽에서도 인정받은 디스플레이의 강자들이니 기사에 나온대로 아주 형편없고 사기치는 기술은 아닐 것입니다. 아마도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최강자는 '너아니면 나다'라고 서로 선언하는 듯 보입니다. 물론 서로 짜고 치는 것은 아닐테니 잘 싸워야 겠지요. 잘 못해서 한쪽으로 무게가 실리면 큰일입니다.



구글과 애플의 싸움만큼 볼만한 싸움입니다. 이슈메이킹의 기술을 그들로부터 배웠다면, 이제 싸움의 기술을 얼마나 배웠는지 두고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합니다. 구글과 애플만큼 재미있는 드라마를 보여줄 수 있을까요?


Wednesday, October 6, 2010

구글 코리아, Balls Logo - 순간검색 라운치?

오늘 구글 코리아 (http://google.co.kr)에 접속하시면 마우스움직임에 반응하여 떠다니는 구글 볼 로고(Balls Logo)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구글 코리아에서만 볼수 있네요. 그런데 이상한 것은 구글 두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찾아봐도 이 로고를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 볼 로고는 새로운 것도 크리스마스, 추석 등 기념일을 위해 만드는 로고가 아닙니다. 이 로고는 지난 9월 7일 Google.com을 통해 공개되었지요.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했습니다. 이게 뭐냐고. 구글탄신일을 위한 거냐고. 하지만 구글탄신일에는 케익 모양의 구글 케익 로고가 있었지요. 구글의 답변은,

 Today’s doodle is not related to a birthday but is fast, fun and interactive, just the way we think search should be.

 
무슨 개뿔따구 같은 소리냐했었겠지요. 빠르고, 인터액티브하고 재밌는 검색엔진 좋지요. 그런데 다음날.

Google Instant가 빵 터졌습니다. 저 로고에서 설명한 그런 빠르고, 재밌고, 인터액티브한 검색인 Google Instant라 이것이지요.


그리고 구글 코리아가 오늘 그 볼 로고를 내걸었습니다. 아마 몇시간 후면 구글 코리아에서도 Google Instant (순간검색, 혹은 즉시검색)서비스가 시작되려는 모양입니다. 사실 google.com에서 한글 검색어에 대해서도 순간검색에 되고 있어서, 어떤게 새롭게 보여질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한달 가까이 무엇인가 작업을 했으니 새로운 것이 나오리라 기대합니다. 설마 google.com 한글 검색어 입력과 같진 않겠지요!!!


동영상을 찾다가 저도 놓치고 재미있는 로고가 있어 같이 소개합니다. 회색빛의 구글 로고가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서 원래 모습으로 색이 입혀지네요. 9월 8일에 올라왔다는데, 그 날은 순간검색 시작한 날인데 왜 못봤을 까요.. 음..



그리고 하나 더, 볼 로고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마우스에 반응하는 로고. Buckyball 발견기념으로 만들어진 로고인데, 가운데 버키볼이 마우스에 반응합니다.



Friday, September 10, 2010

구글 크롬의 꿈, 그 중간의 순간검색

며칠전 선보인 구글 순간검색 (Google Instant)는 많은 개인정보문제 등 시기와 질투(?)가 있었지만 그야말로 많은 이들의 찬사가 이어졌다. '역시 구글', ''구글신', '검색의 절대 강자' 등등등. 나도 신기해서 이것 저것 많이 해보고 테스트 해봐도 음. 좋다.

[팁!] 혹시 안되는 분들은 구글 계정에 로그인 되어있고 언어가 한글로 설정되어있으면, google.com을 백날 입력해도 강제로 구글 한국어 서비스로 연결되어 안될 수 있으니, 강제로 http://google.com/en으로 입력해서 영문 사이트로 들어가서 해보시길. 영문사이트에서도 한글 검색어 입력이 가능하고 한글에 대해서도 순간검색이 가능하다. 그러니 사실 구글 코리아는 서비스를 아직 하지 않고 있다는 말은 사기에 가깝다.

그리고 오늘 크롬을 딱하니 여니 조금 다른 모습의 크롬이 떴다. 자동 업데이트를 설정해놔서 가끔씩 이런 기쁨(?)을 아침에 맞이 하곤 하는데 오늘은 눈에 띨 만큼 바뀌었다.

<Google Chrom v6.0.472.55>


1. 우선 전체 브라우저 색감이 연한 회색으로 바뀌었다. 물론 이것은 테마를 설정해서 바꿀 수 있지만 파란 기본이 좋아서 그것으로 했었는데 회색도 괜찮다. 위에 보이는 그림이 업데이트된 크롬에서 구글 메인 페이지에 들어간 모습.

[팁!] 배경에 보이는 그림은 언제부터 생긴 기능인지 모르겠지만, 배경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링크가 좌측하단에 보인다. 그 링크를 누르면 여러 깔끔한 이미지 중에 고를 수 있다. 자기 컴퓨터에 있는 그림도 선택 가능하다. 이를 테면 이쁜 여자 사진. 로그인이 필요하고 이건 크롬하고 전혀 상관이 없다. 그런데 여기 왜쓰냐. 그냥 아시라고.
 

2. 우측 상단에 '현재페이지 관리'와 '사용잘 설정' 두개의 버튼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우측상단에 보이는 저 연장모양(?) 버튼이 하나만 보이고 연장의 방향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뀌었다. 연장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통합된 옵션 팝업이 나타난다. 두개를 하나로 합치면서 Edit 세개메뉴를 한 줄에 깔끔하게 집어넣은 것등 참 깔끔하게도 통합했다. 이쁘게 안봐줄 수 가 없다.

<하나로 통합도니 크롬 설정 창>

 
3. 작업 표시줄에 보안 정보 표시. 크롬이 등잘할 때부터 크롬 3대 모토 (Speed, Simplicity, Security)중 하나였던 Security 정보가 작업표시줄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보여진다. 아래 그림에서 왼쪽은 로그인 하지 않은 naver.com을, 오른쪽은 로그인 후 mail.google.com을 브라우징한 것이다. 왼쪽에서는 어쩌고 저쩌고 인크립션이 안되있고 해서 느낌표 두개가 나와 보안상 이유가 있을 수 있다고 짐작하는 것이고, 오른쪽은 어쩌고 저쩌고 안전하고 certificate 정보는이렇다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있던 현재사이트를 북마크하는 별 마크는 작업표시줄 오른쪽으로 쫓겨났다. 별 마크가 있던 자리에는 보안등급에 따라 지구본 모양 동그라미가 있거나 녹색  자물쇠가 있거나 빨간색 해골이 나타난다. 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처럼 창이 하나 떠서 정보를 보여준다.

<페이지 보안 정보 표시 기능>


빨간색 해골이 표시된 다는 것은 조심하라는 뜻 같다.  같은 g메일에서 왔다 갔다 몇번 했더니 빨간 해골 등장. 해골을 눌러보니 느낌표가 하나밖에 안뜬다. 읽어보니 g메일에 대한 연결은 안전한데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워드 첨부파일이 있는 메일을 보고 있었다.)가 안전하지 않은 컨텐트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

<혹시 개인정보 있나? 보셨다면 신고바람>


작업표시줄 왼쪽에 있는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새로고침, 홈 버튼은 버튼 모양이 사라지고 마우스 오버를 해야 버튼모양으로 보이게 바뀌었다. 이렇게 작업표시줄은 전체적으로 간소화 되고 깔끔한 인터페이스로 바뀌었다.

4. 요소 검사(inspect element) 인터페이스도 바뀌어서 훨씬 보기 편하고, element에 대해 사람의 언어(물론 영어이긴 하지만)로 설명하는 부분이 추가되기도 했다.

5. 그 외에 작지만 많이 바뀌었다. 게다가 느낌인지 뭔지 좀 빨라진 느낌이다. 페이지 전체 로딩, 이미지 로딩 등 확실히 빨라진듯. 네트웍이 빨라졌나;;;;


어떻게 바뀌었는지 잠깐 찾아봤는데 없다. 공식블로그에도 없고 공식 사이트에도 없다. 그거 찾다가 재밌는 그림을 하나 찾았다.
구글 검색에 대해 이전 구글검색과, 구글 순간검색과, 크롬 운영체제의 비교. (원문링크)

순간검색 이전에 구글 검색을 하려면 사용자는 12단계를 거쳐야 했다.
[운영체제 시동->브라우저열기->주소입력창에 포커스-> google.com입력 -> 가기 버튼이나 엔터키 누름 -> 구글 메인페이지 로딩 -> 검색박스에 포커스 ->검색어 입력->검색버튼 혹은 엔터키 누름->검색결과창 로딩->검색결과창 브라우징->결과중 링크 클릭]. 물론 사용자의 능력(!)에 따라 한 두단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키와 R키를 눌러 열리는 실행박스에 http://google.com이라고 입력하면 주소입력창에 포커스라는 하나의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어쨌든 구글 순간 검색은 검색어 입력다음의 두단계를 줄였다. 엔터키를 누르는 것과 결과페이지를 로딩하는 단계를 없앴다. 구글은 Finally 이를 크롬 OS를 이용해 5단계로 줄일 계획이라고 한다. 어서 그렇게 해라. 5단계에 낭비할 시간이 없다. ㅎㅎ

아래그림은 원문에 실린 그림이다. SERP는 Serrch Engine Results Page의 약자로 검색결과페이지를 의미.

구글은 가끔 얄미울 만큼 사용자의 마음을 파고든다. 이런게 진정 사용자 중심의 소프트웨어 개발인가?

무한도전 WM7 3경기까지 14시간 남았다. 아 기대되.

Thursday, September 9, 2010

구글 순간 검색 - 소프트웨어 개발의 본보기

아주 심플한 화면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구글. 또 하나의 놀라운 서비스를 시작했다.
구글 순간 검색 (Google Instant). 구글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중에 사용자의 검색어를 미리 예측하여 해당 결과를 미리 보여주는 서비스이다. 과연 구글신이라 불릴만 하다.

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검색어를 입력하는 중에 결과화면이 나오고, 이 화면에서 검색창이 아닌 다른 부분을 클릭해도 검색어 입력창 및 유사검색어리스트는 그대로 남아있다. 그러니까 검색어 한자 한자 입력하는 것이 하나의 새로운 페이지로 인식되는 것.

University of Pittsburgh를 검색하려고 입력한 창이다. 놀랍게도 univer만을 입력했는데 결과 첫 화면이 University of Pittsburgh다. 오 놀라워라. 하하 구글이 아니 내 컴퓨터가 독심술을 쓰지 않고서야 어찌 내가 생각한 검색어를 알아맞춘단 말인가. 사실 내가 그동안 University of Pittsburgh라는 검색어를 쓴 적이 있고, 지금 있는 곳이 Pittsburgh이고 그래서 이런 정보들을 이용해 이런 예측을 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마음속으로 University of Pennsylvania를 생각했다 하더라도 구글은 당연히 똑같은 예측을 했을 것이다.

<Google Instant 예제>


어쨌든 신개념의 서비스다. '순간 검색'이라는 말에 어울리게 그 짧은 시간동안 유사검색어는 물론이며 스폰서 링크(광고), 구글맵 등 기존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야 나오던 화면이 금새 나온다.

소시적에 검색에 대한 연구를 해본 소견으로도 대단하다. 구글의 현재의 검색 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의 검색어만으로 문서를 찾지 않는다. 위에서 말한 사용자의 웹 검색 기록, 그외의 사용자의 프로파일(로그인 되어 있고,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한 부분에 대해서), 사용자의 장소, 시간, 검색어의 유사어 반의어, 온갖 잡것들을 다 활용해서 검색한다. 그러니까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굉장히 많다는 것이다. 짧은 시간에 어떻게 빨리 그 많은 데이터를 처리를 할까가 속도를 줄이는 핵심일터.

사실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문서를 찾는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위 그림에서 University of Pittsburgh를 입력했을 때 저 결과로 나온 문서들을 다 검사해서 랭킹을 정한다는 것이 거짓말이라는 뜻이다. 아무리 구글이라도 그런 식으로 하면 족히 1시간은 넘어야 검색 결과를 돌려줄 것이다. 정확한 시스템은 모르겠지만, 이를테면 'University of Pittsburgh'가 검색어로 들어왔을 때 사용자에게 보여줄 페이지가 '결과.html'이런 식으로 이미 결정이 나 있을 것이다. 검색어가 수억개 이상이고 결정된 페이지 역시 수억개 이상일 테니 그시간도 장난이 아닐터, 결과적으로 구글의 시스템이 대단하다고 할 수 밖에.

오늘 구글 순간 검색을 보면서,' 저렇게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되는데'라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구글의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도 대단하지만, 구글의 소프트웨어는 현재의 기술력들을 모두 이용한다는 것이 놀랍다. 엄청나게 빠른 네트워크, 적어도 1기가 이상이 되는 현재 사용자 컴퓨터의 메모리, 말도못하게 빠른 사용자 컴퓨터의 CPU, 블루레이 영화를 문제없이 재생시키는 그래픽카드, 남아넘치는 하드용량. 이런 것들을 최대한 이용해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낸다. 그러니까 네트워크속도가 형편없는, 이를 테면 무선랜에 접속했는데 안테나가 하나밖에 뜨지 않았다면 구글 순간 검색은 아마도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몇해전 부터 IT강국 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강국은 커녕 약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말이 나온지 꽤 되었군 한국에 있는 교수들도 이래서는 안된다고 인터뷰도 하고 그랬는데, 이정부들어서는 오히려 더 악화되고 있다. 소프트웨어진흥원이라는 것도 지금 검색을 해서 들어가보니 한곳은 준비중이라고 한곳은 noori.net이라고 뜨는데 이게 뭐하는 데인지 모르겠다. 무슨 쇼핑몰같다. 여전히 ActiveX없으면 안되는 나라이고, 클라우드컴퓨팅은 아직도 먼나라 얘기이다. 기반이 없는 곳에서 '천재들'을 바라는 것이 여전히 우리나라 IT계의 바람이다. 야구도 아니고.

원래 큰 놈들은 특히, 대기업들은 대놓고 싫어하는 나이지만 구글은 예외이다. 놀랍다.

Friday, July 30, 2010

구글 한국 사용자용 로고 2002년 - 현재

문득 문득 즐거움을 주는 구글 로고. 한국어 서비스에 제공되었던 로고들을 찾아보았다. 참 할일도 없다.
굉장히 많은 날들이 새로운 로고와 함께 등장하는 듯 하였으나, 한국어 서비스에 등장하는 로고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물론 New Year, Christmas, 구글탄신일 등 세계 공통적으로 등장한느 로고도 있고, 얼마전에 등장한 바코드 탄신일이나 간디나 다윈의 생일 처럼 문득 문득 등장하는 로고도 많으니 쏠쏠한 재미가 있다.

한국어 서비스에서는 2002년 월드컵과 함께 시작하였고, 광복절, 추석, 한글날이 이제 공식적으로 제작되는 것 같다. 삼일절은 들어갔다 안들어갔다 한다. (삼일절은 Korean Independence Day라 공식적으로 사용한 것은 어떤 의미일까 이미 그날 독립했다는 것인가). 좀 더 여력이 된다면, 식목일, 어버이날 등등의 로고도 만들어질려나.

 

최근의 백남준 선생 탄생일 로고는 의외.

 




2002년 5월 31일 월드컵


2002년 8월 15일 광복절 

 

2003년 8월 15일 광복절
 

2003년 9월 6일 추석

 

2004년 8월 15일 광복절





2005년 3월 1일 삼일절


 


2005년 8월 15일 광복절


 


2005년 9월 18일 추석


 


2005년 10월 9일 한글날


 


2006년 6월 9일 월드컵


 


2006년 8월 15일 광복절

 


2006년 10월 6일 추석

 


2007년 8월 15일 광복절

 

2007년 9월 25일 추석

 


2008년 3월 1일 삼일절

 


2008년 8월 15일 광복절

 


2008년 9월 14일 추석

 


2008년 10월 9일 한글날

 


2009년 8월 15일 광복절

 


2009년 10월 3일 추석

 


2009년 10월 9일 한글날



2010년 2월 14일 설날 (주요 아시아 국가와 함께)
Lunar New Year

2010년 5월 15일 스승의날
Teacher's Day

2010년 6월 12일 월드컵 승리팀 (한국 구글사용자를 위한건데 어디가 한국?)
Doodle4Google World Cup Winner - Korea

2010년 7월 20일 백남준 출생 기념
Nam June Pa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