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r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adsystem.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adsystem. Show all posts

Tuesday, August 17, 2010

악성코드유포 위젯을 잠시 제거합시다!

블로거들이 하루 아침에 악성코드 중계자들이 되고 말았습니다. 우리들은 아무 잘못이 없는 데 말이지요. 문제되는 광고프로그램을 한적도 없고 심지어 광고도 하지 않고 있는데요.
어제만 해도 크롬에서 차단당하는 블로그가 그리 많지는 않았는데, 오늘은 거의 반수가 넘게 차단당하고 있습니다. 제 블로그도 일부 차단당하네요. 댓글과 트랙백때문입니다. 댓글이 많은 블로그의 글일 수록 차단횟수가 많아집니다. 무시하고 계속하기를 눌러도 또 튕겨져 나오죠.

그리고 무엇보다 설마했는데 피해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문제가 되고 위젯이나 코드는 마이에드센스(adsystem)로 알려져 있는데 애드찜, igaon 위젯도 문제가 되고 제가 보기에는 이들이 문제가 아니라 해커들이 이들 위젯에 임의로 악성코드를 넣은 듯합니다.

해결방법으로 검색해 봤는데 딱히 보이는 게 없네요.
일부에서는 구글 웹마스터도구에서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해서 악성코드가 없음을 확인하라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웹마스터 도구에서 하위페이지까지 전부 검토하지 않고 대표 페이지만 검토하고 있는 듯 하고,
게다가 블로그들은 댓글때문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현재 제가 보기에 가장 큰 문제는 '댓글'입니다. 이런.
댓글은 블로그의 생명인데 댓글이 문제라니.
광고프로그램을 하나도 사용하지 않은 블로그들도 악성코드유포 중계자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블로그 글에 댓글을 다신 분의 블로그에 현재 문제되고 있는 위젯이나 코드가 삽입되었기 때문이지요.

다들 불편이 맍으실 것 같습니다. 다음뷰나, 레뷰나, 믹시나, 블코나, 창블이나 문제 안되는 메타블로그들이 없습니다. 글을 읽고 추천도 하고 댓글도 달고 싶은데 말이지요.

절대 무시하고 계속하기를 누르지 마세요.
피해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네요. 작은 창이 계속 뜨는 등.

애드찜. 마이에드센스(마이센스)이 제일 큰 문제고 igaon은 뭔지 모르겠으나 문제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수익에 좀 문제가 있더라도 블로그 디자인이 약간 깨지더라도 해당 위젯 제작자들이 문제를 해결할 때 까지 위젯을 내려놓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들의 블로그를 위해서.

위젯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어제 아침부터 문제가 된 악성코드를 호스팅 하거나 중계역할을 하는 광고프로그램 문제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얼마전 ilikilink.com 이었던가 이사이트 때문에 올블릿이 안전브라우징에 차단되었던 적이 있었다. 올블릿은 제법 빠른 시간내에 문제를 해결하였고,  친절히도 블로그들마다 찾아가며 이 문제를 지적한 글들에 답글을 달아 이런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겠다는 답글을 남겼다. (관련글: 올블릿, 어제는 짜증, 오늘은 감동)

그런데 이번에는 문제가 해결되기는 커녕 오히려 확산되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블로거들이 자신들도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어느 중계자가 되고 있다는 것.

자신의 블로그의 adzzim이나 igaon, adsystem 중 하나의 광고프로그램을 이용한 코드를 삽입했다면 그 블로그는 크롬 안전브라우징에 차단되고 있다. 어제는 adsystem은 없었는데 오늘 새로 보인다. 실제 문제가 되는 것은 wangqiao365.com, smaug.cz, 4589.in 요놈들인 듯 하다 (절대 저 링크 복사해서 들어가보지 마세요. 어떤 결과가 있을지 며느리도 모릅니다)
블로거들이 악성코드 유포자가 되는 것은 그저 다른 블로그에서 글을 읽고 답글을 달거나 트랙백을 보내는 것. 혹은 방명록을 쓰는 것.
물론 고의로 그렇게 하는 블로거들은 없다 (아니 있을 있구나! 저런 나쁜)
예를 들어 A라는 블로그가 감염되었고 크롬이 판단했는데, A의 주인이 B라는 블로그로 가서 글에 댓글을 달았다면 크롬은 블로그 B에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이트의 링크(A의 블로그 주소)가 있다고 판단하여 B도 차단한다. 그러니까 실제로 A는 유포자가 아니긴 하나 크롬은 그 링크를 따라가다가 감염될 거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그렇게 차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익명으로 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로그인 된 상태이거나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댓글을 썼다면 본의아니게 악성코드 유포의 한 경로를 만든 셈이다.

글을 쓰던 중 1시간 전 등록된 기사 하나를 발견했다
다행히 한국 블로그들에서 나타나는 그 놈은 아닌 듯 하지만, 위젯을 통한 코드 유포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를 그저 "구글 크롬의 귀찮은 기능"으로만 볼 수 는 없게 되었다.

다행히 크롬을 쓰면서 차단을 많이 해서 그런지 내 컴퓨터에 유포된 것은 없는 것 같다.
그리고 크롬 경고메세지에서(아래 그림) 빨간 박스부분이 아는 분의 블로그주소이거나 웹사이트주소인 경우 무시하고 계속하기를 해도 문제가 없다.  그 블로그 링크를 따라가는 것은 위험요소가 있다. 만약 그 블로그가 광고위젯을 사용하고 있다면 악성 소프트웨어가 다운받아질 위험이있기 때문.

제발 광고회사들, 블로거들을 악성코드 유포의 중계자로 만들지 말고 조급히 해결하길 바란다.

익스플로어 쓰시는 분들은 쓰시는 백신을 한번 돌려보시거나 스파이웨어 차단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는 게 혹시라도 있을 위험에 대비하는 길일 듯 하다.